S군의 화폐박물관




상평통보 당백이다.

당백전은 조선 후기인 1866년(고종 3년)에 발행하였다.


1866년 10월 우의정 김병학의 제의에 따라 금위영에서 11월 6일에 주조를 시작했다.

1867년 6월 17일에 당백전의 발행이 중지되었으니 약 7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발행된 화폐이다.

*금위영은 호조 관할에 있는 관청이다. 


당백전의 모양과 중량이 당시 통용되던 당일전의 5~6배에 지나지 않았는데

당백전 1매의 명목가치는 실질가치의 약 20배에 달할 정도로 대표적인 악화(惡貨)였다.



  조선정부가 이러한 악화를 발행한 것은 당시 국가재정의 위기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조선 후기 이래 국가의 재정지출이 날로 확대되는 반면에 

재정수입은 오히려 축소되고 있어서 정부로서는 이러한 위기를 타개해야 했다. 

더구나 대원군집권기(1863∼1873)에는 안으로는 실추된 왕실의 권위를 회복하려고 

경복궁중건사업을 벌이고, 밖으로는 서구 열강의 침략에 대비하여 군대를 증강하고 

군비를 확장하는 사업을 벌여야 했다.


  그런데 집권초기에 함경도지방의 민폐를 덜기 위해 함경감영의 동전주조사업을 철폐하고 

갑산동광(甲山銅鑛)을 폐쇄했기 때문에 동전원료난이 더욱 심각해지자 

한정된 동전원료를 가지고 보다 많은 유통가치를 조성하여 국가의 격증하는 재정수요에 충당하기 위해 

당백전을 주조·유통시키고자 했다. 

또한 청나라에서 태평천국의 난으로 발생한 국가재정궁핍을 보완하기 위해 

당천(當千)·당백(當百)·당오십(當五十) 등의 고액전을 주조·발행하여 당시까지 통용되고 있었으므로 

조선에서도 고액전이 유통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일시적으로 타개하는 방안으로 악화를 발행하여 

명목가치와 실질가치의 차액을 남기려고 했던 것이다.


  정부는 당백전의 유통을 원활하게 하려고 

이 악화를 모든 공사거래에서 종래의 상평통보와 함께 통용하게 하고 

각 관청에서는 경비를 지출할 때 당백전 2/3, 상평통보 1/3의 비율로 통용하게 하였다. 

그 결과 당백전 발행 초기인 1866년 12월경에 7∼8냥에 지나지 않았던 

미곡 1섬의 가격이 1∼2년 사이에 약 6배로 폭등하였다.


  당백전 발행으로 말미암아 폐단이 매우 심하게 되자 

정부는 1867년 5월 당백전 주조를 중단한 상태에서 

서울과 서울 밖 각 관청의 공납과 사사로운 채무보상 등에 모두 당백전을 쓰되, 

1냥(100푼) 이하 거래에는 상평통보, 1냥 이상 거래에는 당백전을 사용하도록 하는 등 

그 유통영역을 넓혀가려고 하였다.


  그러나 이 모든 노력은 아무 효과를 보지 못했으며, 

1868년 5월 최익현의 상소로 당백전 통용을 금지시키고 말았다. 

결국 당백전의 발행은 재정난을 타개하지 못하고 오히려 물가앙등과 체제위기를 가져왔다.

그리고 당백전 유통금지를 대비하기 위하여 역시 악화인 중국동전 300만~400만 냥을 

수입·유통시킴으로서 화폐문제는 더욱 심각해졌으며, 

1876년 개항한 이후 일본을 비롯한 서양제국의 근대화폐가 유입되고, 

1883년에는 악화 당오전(當五錢)을 남발하게 됨으로써 화폐경제는 더욱 혼란스러워졌다.


*당백전의 재료인 구리가 부족하자 법주사 입구에 있는 청동미륵불상을 깨어 당백전으로 녹여버렸다. 

이 대불상은 높이 33m의 동양최대의 미륵불이며 신라 혜공왕 때 진표율사가 청동으로 세운 것이다. 


*우리가 흔히 “아주 적은 돈도 없다”는 뜻으로 사용하는 

“땡전 한 푼 없다”의 ‘땡전’은 바로 당백전에서 유래된 말이다.


이처럼 당백전의 주조는 조선후기 사회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당백전은 '平' 자의 크기대평, 중평, 소평으로 나누고 있다.

그중 대평의 잔존량이 가장 많고, 중평, 소평 순서로 잔종량이 많다고 한다.

대평과 중평을 나누는 기준은 '平'자의 '二'라고 할 수 있다.

아래획의 오른쪽 길이가 조금 길다 싶으면 대평이고,

대평보다 조금 짧다 싶으면 중평이다.

소평은 '平'자의 크기가 작은 것이다.




소장하고 있는 당백전 중평과 비교를 해보았다.

좌측이 대평, 우측이 중평이다.

아래획이 조금 더 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평도 함께 소개하고 싶었지만 소평은 현재 없다. ^^;



최근 구입한 당백전인데, 당백전이 귀하긴 귀한 것 같다.

당백전을 찾는 사람은 정말 많은 것 같은데, 양질의 당백전은 만나기가 참 힘든 것 같다.

상태가 좋지 않은 당백전만 보다가 상태가 비교적 좋은 당백전을 소장하니

기쁘고 기쁘다.

더 많이 다양하게 소장하고 싶은데...

문제는 돈이다.^^;


*당백전 설명은 두산백과 검색 자료를 발췌했습니다.

*대평, 중평, 소평 구별방법은 '수집본색'의 종이비행기 님의 블로그에서 그 방법을 알게 되었습니다.

*여러 카페에서 고전 정보를 올려주신 많은 분들 감사합니다. 당백전 구별 초보도 쉽게 구별할 수 있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