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폐에도 있었다.
[100원 주화 뒷면 - 이순신 장군 초상]
100원 주화가 발행된 1970년부터 2015년 지금까지 46년 간, 우리나라 대표 주화인 100원에는 이순신 장군의 초상이 도안되어 있습니다.
이순신 장군은 우리에게 ‘불멸의 이순신’ 이란 드라마나, ‘명량’ 이라는 영화를 통해 잘 알려진 분이기도 합니다. 1592년에 발발한 임진왜란에서 이순신 장군이 큰 활약을 했다는 사실은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라라 생각합니다.
[이순신 장군 초상]
이순신 장군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얻고자 하시는 분은 아래 ‘네이버 캐스트’ 내용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이순신 장군의 초상은 주화뿐만 아니라 지폐에도 있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다 500원권]
이순신 장군의 초상이 도안된 지폐를 수집가들과 은행 관계자들은 ‘다 500원권’ 이라 부릅니다. 다 500원권 지폐는 1973년 9월 1일에 발행을 시작했습니다. 100원 주화가 1970년부터 발행을 했으니, 100원 주화보다는 늦게 발행한 셈입니다.
이 지폐는 꽤 오랜 기간 발행되다 1993년 5월 12일에 발행을 중단하게 됩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500원 주화가 1982년에 발행되었으니, 주화와 지폐가 공존한 기간이 약 10년 정도 되는 셈입니다. 아마 500원 주화가 많이 통용되면서, 500원 지폐가 화폐로서 통용됨에 있어 불편함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1원, 5원 주화의 발행을 이전에 중단했으니 500원을 지폐가 아닌 주화로 쓰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다수였던 것 같습니다. 아무튼 1993년을 기점으로 500원 지폐는 서서히 모습을 감추게 됩니다.
[1982년 500원 주화 앞면]
[5원 주화 뒷면 - 거북선]
[다 500원권 지폐 앞면 - 이순신 장군 초상, 거북선]
다 500원권 지폐의 앞면에는 이순신 장군과 거북선의 모습이 도안되어 있습니다. 뒷면에는 ‘현충사’라는 이순신 장군의 사당이 있습니다. 충청남도 아산시에 위치한 이곳은 이순신 장군이 혼인 후, 무예를 연무했던 곳이라고 합니다. 현충사라는 이름도 제19대 조선임금인 숙종이 친히 내렸다고 합니다.
[다 500원권 지폐 뒷면 - 현충사]
[현충사]
[출처: http://blog.daum.net/pejklee/365]
이순신 장군의 초상이 도안된 다 500원권 지폐는 크게 비싸지 않습니다. 현재 모 화폐사이트에서는 미사용 기준으로 약 3,000원 정도에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에는 그 가치가 많이 떨어집니다. 일렬번호도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한글이나 숫자에 따라서도 가격 차이가 나는 편입니다. 여기서 제시한 3,000원은 가장 일반적인 다 500원권 미사용의 거래 가격이니 참조만 하시기 바랍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이순신 장군의 모습을 지폐를 통해 살펴보니 어떠셨나요? 동전보다 또렷한 이순신 장군의 초상을 볼 수 있어 제게는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화폐를 훼손하는 일은 화폐에 도안된 인물이나 문화유산 등 우리의 문화를 훼손하는 것과 같습니다. 화폐를 깨끗하게 사용하기! 함께 동참해주세요.^^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눌러주세요.^^
사무라이 도안의 미발행 1,000원권 (4) | 2015.05.28 |
---|---|
[2015] 뉴질랜드 1달러 키위새 도안 은화 (0) | 2015.05.27 |
페로제도(Faroe Islands)의 아름다운 지폐 (3) | 2015.05.23 |
1966년 10원의 가치 (3) | 2015.05.21 |
샬럿 공주 출생 기념 금화 (0) | 201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