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에 주조되어 유통된 개원통보는 그 종류만 하더라도 꽤 많다고 합니다.
고전을 전문적으로 모으시는 분들은 서체나 배면의 월표, 한자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하지만
보통 사람의 경우, 서체는 크게 신경쓰지 않고, 배면만 살짝 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저도 개원통보는 여러 개 가지고 있지만,
고전은 어렵다는 생각에 분류작업을 손놓고 있습니다.
개원통보를 모으시는 분들께
작은 도움이라도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자료를 하나 올립니다.
서양인들이 만든 중국고전도감에 수록된 자료입니다.
개원통보의 종류가 엄청나네요.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호주의 한 수집가가 자신의 중국 고전을 일괄 판매한다는 글에서 다운받은 자료입니다.
이 수집가의 경우, 중국 고전을 꽤 많이 가지고 있더라구요.
그 중, 개원통보 부분만 발췌해서 올립니다.
실물이라 첫 번째 자료보다는 보시기 편하고 좋으실 겁니다.
추가적인 설명은 저도 자세히 아는 바 없기에 말씀드리진 못하겠네요.
검둥오리님, 종이비행기님 등 고전을 수집하신 분들의 블로그를 통해,
고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눌러주세요.^^
[나 320-20-1] 동국통보(東國通寶) 대독예서 *상향월표 (0) | 2016.02.18 |
---|---|
[다-110-7] 조선통보(朝鮮通寶) (0) | 2016.02.16 |
고려전 동국통보 상월표. (0) | 2015.07.23 |
[중국] 도전과 포전 (0) | 2014.12.30 |
[일본] 천보통보 (1835년) (4) | 2014.12.29 |